[ 목차 ]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상각처리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상각처리란 자산의 가치가 시간이나 사용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회계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상각처리는 자산의 원가를 각 회계기간에 분배하고, 세무적으로는 자산의 감가상각비를 손금으로 인식하는 방법입니다.
상각처리의 종류와 특징, 계산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비슷하지만 다른내용도 있어요!👇
✅"대손상각처리"의 회계적측면과 세무적측면에 대해서 알아보자!
✅대손상각이란?! 세무조정과 결산조정까지 같이 알아보자!
1. 상각처리의 종류
✅상각처리의 종류에는 물리적 상각, 경제적 상각, 기능적 상각 등이 있습니다. 각 상각의 종류는 자산의 가치가 감소하는 원인에 따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 물리적 상각: 자산의 물리적인 손상이나 마모로 인해 가치가 감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기계나 차량 등의 자산은 사용하면서 부품이 닳거나 고장이 나기 때문에 물리적 상각이 발생합니다. 물리적 상각은 자산의 내구성이나 사용방법, 보전상태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 경제적 상각: 자산의 경제적인 수명이나 효용이 감소하여 가치가 감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의 자산은 기술의 발전이나 시장의 변화로 인해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면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경제적 상각이 발생합니다. 경제적 상각은 자산의 수요나 공급, 법률, 환경 등 외부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 기능적 상각: 자산의 기능이나 용도가 변경되거나 손실되어 가치가 감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공장의 생산라인이나 장비가 새로운 제품이나 공정에 적합하지 않게 되면 기능적 상각이 발생합니다. 기능적 상각은 자산의 설계나 구조, 품질 등 내부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2. 상각처리의 특징
✅상각처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각처리는 비현금 비용입니다. 즉, 현금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고, 회계상으로만 비용으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 상각처리는 세무조정사항입니다. 즉, 회계상으로 인식한 비용과 세무상으로 인식한 비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세무조정을 통해 일치시켜야 합니다.
- 상각처리는 잔존가치를 고려해야 합니다. 즉, 자산의 내용연수가 끝난 후에도 어느 정도 가치가 남아있다면, 그 가치를 잔존가치라고 하고, 원가에서 차감하여 상각할 금액을 계산해야 합니다.
3. 상각처리의 계산방법
✅상각처리의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액법: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매년 같은 금액을 상각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취득가액이 1억원이고 내용연수가 5년인 자산을 정액법으로 상각한다면, 매년 2천만원씩 상각할 수 있습니다.
- 정률법: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매년 감소하는 금액을 상각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취득가액이 1억원이고 내용연수가 5년인 자산을 정률법으로 상각한다면, 첫 해에는 4천5백만원, 두 번째 해에는 2천4백75만원, 세 번째 해에는 1천3백59만원, 네 번째 해에는 7천37만원, 다섯 번째 해에는 4천4백21만원씩 상각할 수 있습니다.
- 생산량비례법: 자산의 총 생산량에 비례하여 상각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취득가액이 1억원이고 총 생산량이 10만개인 자산을 생산량비례법으로 상각한다면, 한 개당 1천원씩 상각할 수 있습니다.
👇이런주제는 어떠신가요?!👇
✅ 세무조정 승용차 관련비용!? 방법과 예시까지 알아보자!
✅ 매입가공자료의 세무조정 방법?! 사례적용을 통해 적용방법 알아보기!
4. 결론
상각처리란 자산의 가치가 시간이나 사용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회계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상각처리는 자산의 원가를 각 회계기간에 분배하고, 세무적으로는 자산의 감가상각비를 손금으로 인식하는 방법입니다.
상각처리의 종류에는 물리적 상각, 경제적 상각, 기능적 상각 등이 있습니다. 각 상각의 종류는 자산의 가치가 감소하는 원인에 따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상각처리의 특징은 비현금 비용이고, 세무조정사항이며, 잔존가치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상각처리의 계산방법은 정액법, 정률법, 생산량비례법 등이 있습니다. 이상으로 상각처리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도 관련주제로 찾아 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도소득세란? (0) | 2023.08.22 |
---|---|
가산세 세금계산서 종류와 방법 | 계산예시 (0) | 2023.08.22 |
세법상 감가상각이란? (0) | 2023.08.22 |
월세 세액공제란? (0) | 2023.08.22 |
가공매입 상여처분 | 의미 | 세무적인 처리방법 | 실제사례 (0) | 2023.08.22 |
기장세액 공제 | 대상자 | 방법 | 혜택 (0) | 2023.08.22 |
금융소득 종합과세 계산법 (0) | 2023.08.22 |
종이계산서 과태료 | 종류 | 미발급 가산세 | 지연발급 가산세 | 지연수취 가산세 | 예방방법 알아보자 (0) | 2023.08.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