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

동거인 거주확인? 3가지 확인 방법 알아보자

세모세무 2023. 7. 28.

[ 목차 ]

     

    안녕하세요, 오늘은 동거인 거주확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거인 거주확인이란 집주인이 세입자의 집에 동거인으로 전입신고를 하여 실거주를 소명하는 것을 말합니다.

     

     

     

     

     

    동거인 거주확인은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을 제한하거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동거인 거주확인의 의미와 법적 효과, 그리고 확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전입세대확인서 열람 발급 바로가기

     

     

     

     

     

     

    1. 동거인 거주확인의 의미와 법적 효과









    동거인 거주확인의 의미

     

     

     

     

     

     

    동거인 거주확인이란 집주인이 세입자의 집에 동거인으로 전입신고를 하여 실거주를 소명하는 것을 말합니다.

     

     

     

     

     

    동거인은 세대주와 가족관계가 없는 사람을 의미하며, 주민등록법 시행규칙 제14조에 따라 전입신고가 가능합니다.

     

     

     

     

     

    동거인으로 전입신고를 하려면 세대주의 동의가 필요하며, 세대주는 전입신고 후 30일 이내에 이·통장이나 공과금 납부증명서 등을 제출하여 실거주 여부를 입증해야 합니다.

     

     

     

     

     

     

    2. 동거인 거주확인의 법적 효과

     

     

     

     

     

     

    동거인 거주확인은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을 제한하거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 3 제1항 제8호는 임대인이 임차인과 동일한 목적 주택에 직계존속이나 직계비속과 함께 실제로 거주하는 경우, 임차인의 계약갱신청구권을 거절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집주인이 세입자의 집에 동거인으로 전입신고를 하여 실거주를 소명하면, 세입자는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됩니다.

     

     

     

     

     

     

    또한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3 제5항은 임대인이 계약갱신청구권을 거절한 후 정당한 사유 없이 제삼자에게 목적 주택을 임대한 경우, 임차인은 임대인으로부터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집주인이 세입자의 집에 동거인으로 전입신고를 하여 실거주를 소명한 후, 실제로 거주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임대하면, 세입자는 집주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3. 동거인 거주확인 방법

     

     

     

     

     

     

    동거인 거주확인 방법

     

     

     

     

     

     

    동거인 거주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입세대열람원: 전입세대열람원은 주민등록법 시행규칙 제14조가 인정하는 신청권자가 주민센터에서 발급 받을 수 있는 전입세대의 성명 및 전입일자 내역을 의미합니다.

     

     

     

    전입세대열람원을 통해 집주인이 세입자의 집에 동거인으로 전입신고를 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전입세대열람원은 세입자가 신청할 수 없으므로, 세입자는 집주인에게 요구하거나, 조정이나 소송을 통해 제출하도록 요청해야 합니다.

     

     

     

     

     

     

    * 확정일자 부여현황: 확정일자 부여현황은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6 및 동법 시행령 제5조 및 제6조가 인정하는 이해관계인이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을 수 있는 임대차목적물, 임대인 및 임차인의 인적사항, 확정일자 부여일, 차임 및 보증금, 임대차기간 등을 의미합니다.

     

     

     

    확정일자 부여현황을 통해 집주인이 세입자의 집에 동거인으로 전입신고를 한 후, 다른 사람에게 임대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입자는 이해관계인으로서 확정일자 부여현황을 신청할 수 있으며, 임대차 정보제공 요청서와 임대차계약서를 첨부하여 제출하면 됩니다.

     

     

     

     

     

     

    * 기타 관련 증거: 기타 관련 증거로는 아파트의 입주자관리카드, 공과금 및 관리비 납부 확인서, 우편물이나 택배 수령인, 관리사무소, 경비실, 주변 이웃의 사실확인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거들을 통해 집주인이 실제로 거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4. 결론

     

     

     

     

     

     

    이상으로 동거인 거주확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동거인 거주확인은 집주인이 세입자의 집에 동거인으로 전입신고를 하여 실거주를 소명하는 것을 말합니다.

     

     

     

     

     

     

    동거인 거주확인은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을 제한하거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동거인 거주확인 방법은 전입세대열람원, 확정일자 부여현황, 기타 관련 증거 등이 있습니다.

     

     

     

     

     

     

    이 글을 보시고 이해가 되셨나요?! 여러분의 동거인 거주확인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도 새로운 주제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른 주제가 궁금하신가요?

     

     

     

     

    전입세대 열람내역서 온라인 발급신청 방법 및 발급시 주의사항

    전입세대 열람내역서는 주택이나 부동산에 거주 중인 전입세대를 확인하는 문서입니다. 전입신고가 완료된 세대를 확인하고, 세입자들이 전입 순위에 따라 경매시 전세 보증금을 보호받을 수

    elecjjong.tistory.com

     

     


     

     

     

     

     

     

    동거인 거주확인? 3가지 확인 방법 알아보자

     

    반응형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