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종합소득세 수입금액을 누락하거나 과소신고하는 경우 발생되는 신고불성실가산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종합하여 과세하는 세금입니다.
그런데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때 수입금액을 누락하거나 과소신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신고불성실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신고불성실가산세란, 세법에 따라 신고하여야 할 소득을 신고하지 않거나 과소신고하는 경우에 부과되는 가산세입니다.
신고불성실가산세는 무신고가산세와 과소신고가산세로 구분됩니다.
↓↓↓↓↓↓↓↓아래의 글을 읽고 오시면 이해가 더 빨라요!↓↓↓↓↓↓↓↓
종합소득세의 신고와 납부 방법의 모든것!
[ 목차 ] 종합소득세란 무엇인가요? 종합소득세는 우리가 1년 동안 벌어들인 모든 소득에 대해 과세하는 세금입니다. 소득의 종류에 따라 급여소득, 사업소득, 임대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
elecjjong.tistory.com
종합소득세의 산출방법과 실제 예시
[ 목차 ] 종합소득세란 무엇인가? 종합소득세란 1년 동안 개인에게 귀속된 각종 소득을 종합하여 과세하는 세금입니다. 종합소득세에는 이자소득, 배당소득, 연금소득, 기타 소득. 사업소득, 근...
elecjjong.tistory.com
종합소득세 무신고가산세 감면방법 및 과소신고가산세 까지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종합소득세 무신고가산세 감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지 않거나 부정하게 신고하면 무신고가산세나 과소신고가산세가 부과되는데요, 이러한 가산...
elecjjong.tistory.com
목차
무신고가산세
무신고가산세는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에 부과되는 가산세입니다. 무신고가산세는 일반무신 고와 부정무신고로 나뉩니다.
* 일반무신고: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로, 무신고 납부세액의 20%와 수입금액의 0.07% 중 큰 금액을 부담하게 됩니다.
* 부정무신고: 과세관청이 일부러 신고를 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경우로, 무신고 납부세액의 40%와 수입금액의 0.14% 중 큰 금액을 부담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A 씨는 2023년에 1억 원의 수입금액이 있었으나,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았습니다. 이 경우 A 씨는 다음과 같은 무신고가산세를 부담하게 됩니다.
* 일반무신고: (1억원 × 0.07%) = 70만 원
* 부정무신고: (1억원 × 0.14%) = 140만 원
과소신고가산세
과소신고가산세는 신고를 했으나, 신고해야 하는 또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에 부과되는 가산세입니다. 과소신고가산세는 일반과소신고와 부정과소신고로 나뉩니다.
* 일반과소신고: 신고한 소득보다 많은 소득이 있는 경우로, 과소신고 납부세액의 10%를 부담하게 됩니다.
* 부정과소신고: 과세관청이 일부러 소득을 적게 신고했다고 판단하는 경우로, 부정과소신고 납부세액의 40%와 부정과소신고 수입금액의 0.14% 중 큰 금액을 부담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B씨는 2023년에 2억 원의 수입금액이 있었으나, 종합소득세를 1억 원으로만 신고했습니다. 이 경우 B 씨는 다음과 같은 과소신고가산세를 부담하게 됩니다.
* 일반과소신고: (1억 원 × 10%) = 1천만 원
* 부정과소신고: (1억원 × 40%) = 4천만 원
결론
종합소득세 수입금액을 누락하거나 과소신고하는 경우에는 신고불성실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신고불성실가산세는 무신고가산세와 과소신고가산세로 구분되며, 각각 일반과 부정으로 나뉩니다.
신고불성실가산세는 신고한 소득이나 수입금액에 비례하여 부과되므로, 세금을 줄이기 위해 소득을 숨기거나 적게 신고하는 것은 오히려 더 많은 세금을 내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법에 따라 정확하고 성실하게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으로 종합소득세 수입금액누락 신고불성실가산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저는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급신고 불성실가산세란? 부가세 환급신고시 주의할 점과 대처방법 (0) | 2023.08.04 |
---|---|
일반과세와 특례과세란? 세금을 내는 방식의 차이와 장단점 (0) | 2023.08.04 |
친족간 증여세: 가족 간 재산을 주고받을 때 알아야 할 것들 (0) | 2023.08.04 |
에코프로비엠 교환사채: 2차전지 대장의 미래 전략 (0) | 2023.08.04 |
5억 부동산 취득세 얼마정도낼까? (0) | 2023.08.02 |
간이과세자 업종별 부가가치 세율?! (0) | 2023.08.02 |
2023년 근로소득공제 금액? 변화와 영향 계산법까지 알아보자! (0) | 2023.08.02 |
2023년 취득세의 모든것! (0) | 2023.08.02 |
댓글